대회목적

119소방정책콘퍼런스 목적

소방조직내부의 연구분위기 조성 · 확산과 소방행정 환경변회에 대한 대응능력의 배양, 그리고 소방조직과 소방관련대학 및 단체와의 유기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과거 소방정책콘퍼런스 사진
논문심사

각 시·도에서 자체 콘퍼런스를 통해 우수작을 선발한 후 중앙대회에 제출한다. 중앙대회에서는 1차 논문심사와 2차 발표심사를 통해 종합 우수작을 선발 1차 논문심사에서는 연구내용의 적절성, 창의성, 실용성, 효과성을 중점으로 심사하며 2차 발표심사에서는 발표수준, 논리의 일관성, 청중 반응도, 답변능력을 중점적으로 심사 평가한다. 1차 심사는 3명 2차 심사는 3~5명으로 대학교수와 소방청 소속의 과장급 이상의 소방공무원을 위촉하여 평가한다.

자체연구반
연구반은 책임연구자를 포함하여 5명 이내로 구성한다. 책임 연구관 대부분 소방서장(소방정급)이 담당하였으며 소속관서의 우수직원들이 연구원으로 편성되어 논문을 작성한다.
우수작 수상

우수작에 대해서는 기관표창을 한다. 일선 소방관서가 보다 적극적으로 연구ㆍ연찬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게 하고 소방정책콘퍼런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욕을 불러 일으키기 위한 동기부여를 그 목적으로 한다. 1위는 대통령상, 2위는 국무총리상, 3~4위는 행정안전부장관상, 5~6위는 소방청장상을 수여한다. 7-8위는 중앙소방학교장상을 수상한다.

사후조치
논문심사에서 통과된 자료는 소방정책콘퍼런스 당일 발표와 공개토론 등을 통해 학술로서의 가치를 인정 받게 되고 이는 소방정책 발전을 위한 자료로 공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