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이례적인 폭염과 짧은 장마로 7월에도 산불 지속"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상대적으로 화재 발생 위험이 적었던 여름에도 유례없는 폭염과 건조 현상 탓에 산불이 지속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0일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5일과 8일 충북 영동과 경북 경주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여름철(6∼8월) 산불 발생 건수는 1980년대 1건에 불과했으나 1990년대 7건, 2000년대 17건, 2010년대 48건, 2020년대 13건 등으로 늘고 있다.
이례적인 여름철 폭염(지난해보다 18일 이른 서울 폭염경보)과 짧은 장마로 7월에도 산불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고 산림청은 전했다.
고온·건조로 인해 산림 내 탈 수 있는 연료량이 증가하면서 산림 인접지 피해 위험이 커지고 있다.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기온이 1도 오르면 산불발생위험이 8.6% 증가하고, 2도 상승 시 13.5% 증가한다.
또 낙엽 수분 함유량이 15% 이하일 경우, 35%일 때보다 발화율이 25배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열돔 현상으로 이달 독일 고리슈하이데(1일), 그리스 크레타섬(2일)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는 등 여름철 고온에 의한 산불 발생위험과 대형화 경향이 커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산불기상지수(위험도)를 예측한 결과 2100년께 한국의 산불기상지수는 20세기 후반(1971년∼2000년) 대비 최대 15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림청은 "강원 고성지역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산불확산 모의실험을 진행한 결과, 숲가꾸기를 실시할 경우 수관화(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만 태우면서 불이 번지는 현상) 피해율이 35%로 숲가꾸기를 하지 않은 숲(61%)보다 낮았다"면서 "숲가꾸기를 통해 산불 연료를 줄이고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j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